• 소식
  • 보도자료·논평
  • 대변인

대변인

국민의힘 대변인 공식 논평 및 보도자료입니다.

박영선 의원은 무책임한 정치공세의 달인이 되려 하는가. ‘친서민’ 외치며 ‘1%의 생활’을 하는 위선 청산하라.[논평]
작성일 2012-04-05

 서울 구로을에 출마한 민주통합당 박영선 의원의 꿈은 무책임한 정치공세의 달인이 되어 대한민국의 정치를 혼탁하게 만들려는 것 아닐까 싶다. 그는 최근 민간인 사찰 문제와 관련해 “박근혜 위원장도 포함된 새누리당에서 (사찰 문건을) 같이 활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위원장이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7년 정보기관에 의해 사찰을 당했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해선 “사찰이 불거졌을 그 시점에 왜 말을 못했느냐. 사찰 내용이 알려질까 봐 두려워서 그런 것이고, 그래서 약점이 잡힌 것 아니냐는 분석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먼저 박 위원장에 대한 노무현 정권의 사찰 문제와 관련해 박 의원에게 묻는다. ‘사찰이 불거졌을 그 시점에 왜 말을 못했느냐’라고 했는데 이는 사찰이 있었다는 걸 인정하는 말 아닌가. ‘사찰 내용이 알려질까 봐 두려워서 그런 것’이라고 한 건 또 무슨 말인가. 박 의원이 사찰내용을 알고 있다는 것인가. 이명박 정부의 민간인 사찰 문제에 대한 폭로전을 주도하고 있는 박 위원장은 양심의 소리를 들어야 한다. 양심이 있다면 노무현 정권의 사찰에 대해서도 고백을 하는 게 옳다는 얘기다. 그래야 인권을 유린하는 불법사찰과 싸우는 정도(正道)를 걷는 정치인이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명박 정부의 사찰에 대해선 추상같이 추궁하는 박 의원이 노무현 정권의 사찰에 대해선 ‘모르쇠’의 태도를 취한다면 그가 남들을 질타할 때 잘 쓰는 표현인 ‘비겁한 정치인’이란 딱지가 박 의원 얼굴에 붙을 것이라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박 의원은 “박 위원장이 이명박 정부의 사찰 문건을 같이 활용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그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 그러지 못하면 ‘정치공세만 펴는 못난 정치인’이란 비판을 면키 어려울 것이다.

  박 의원은 그간 입만 열면 ‘친서민’을 외쳐 왔다. “1% 특권층에 맞서 시종일관 싸워왔다”고도 했다. 그러나 박 의원의 언행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걸 많은 국민이 알고 있다. ‘말 따로, 행동 따로’의 위선적인 삶을 살고 있다고 보는 이들이 적지 않은 것이다.

  일본에서 중학교에 다니고 있는 박 의원의 아들은 한국 국적과 미국 국적을 동시에 갖고 있다. 아들의 이중국적의 문제와 관련해 2011년 9월 26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한 박 의원은 이런 문답을 주고 받았다.

- 질문: 아들은 여전히 미국 국적이라는 것, 왜 그동안 회복하지 않았는가. 이게 좀 약점이 되지 않을까요?
- 박 의원 답변: 저희 아이 아빠는 어렸을 때 아버지를 따라서 미국으로 이민 간 가정의 사람인데요. 제가 LA특파원을 하면서 당시 미국에서 결혼했었습니다. 그래서 그것은 제가 어떻게 저의 힘으로 좌지우지할 수 없는 부분이었고요. 제 아이는 한국 국적입니다. 그런데 아버지의 국적을 따라서 자동적으로 국적이 나와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에요.


  박 의원에게 묻고 싶다. 한국 국적인 아들이 미국 국적을 취득한 건 당시 미국 국적을 갖고 있던 아버지 때문에 자동적으로 그렇게 된 것이라고 하는 데 박 의원은 그때 아들이 이중국적을 갖는데 찬성한 것 아닌가. 어머니인 박 의원이 아들의 미국 국적 취득을 적극 반대했다면 아들이 이중 국적으로 있는 상태는 해소됐을 것이다. 그럼에도 박 의원은 ‘아버지 때문’ 탓으로만 돌리고 있다. 자기 아들이 ‘아버지만의 아들’인양 말한 것이다.

 
  박 의원의 아들은 초등학교를 연간 등록금만 3200만원에 이르는 서울의 외국인 학교에 다녔다고 한다. 지난해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이 문제가 논란거리로 등장하면서 “1%의 삶을 살고 있는 박 의원의 ‘친서민’ 주장은 위선적”이라는 지적을 받자 그는 ‘악의적 공격’이라고 항변했다. 그런 그가 남들에 대해선 얼마만큼 악의적으로 공격하고 있는지 이 시점에서 성찰해 보길 권한다. 박 의원이 "아들이 한국 학교에 적응하지 못해 외국인 학교에 보냈다“고 주장해도 아들이 초등학교를 졸업하려면 2억원 가량이 드는 고급 귀족학교에 다녔다는 사실은 바꿔놓을 수 없다.


2012.  4.  5.
새누리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  이 상 일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