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식
  • 보도자료·논평
  • 정책위

정책위

국민의힘 정책위 공식 논평 및 보도자료입니다.

여성빈곤대책 간담회 결과
작성일 2003-08-28
(Untitle)

< 여성빈곤대책 간담회 결과 >

 


□ 일시 및 장소 : 2003. 8. 27(수) 10:30-13:00

□ 참석자 : 정책위의장, 제3정조위원장, 이연숙 의원
          - 유정순 빈곤문제연구소장 발제
          - 한국개발연구원(KDI) 문형표 재정복지팀장
          - 한국여성개발원 박영란 책임연구원
          - 한국여성노동자협의회 박진영 조사연구부장
          - 부스러기 사랑나눔회 강명순 목사
          - 한국자활후견기관협회 성남자활후견기관 한숙자 관장
          - 한국여성단체 연합 남윤인순 사무총장 등

 

 

□ 종합의견
 
   경제계만을 대변한다고 보여졌던 한나라당의 빈곤문제에 대한 관심에 감사,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 관심 당부

 

   빈곤대책의 대처수준에 대한 철학 및 원칙, 종합적인 틀 수립 우선 필요
    - 목표를 설정하고 장기간 지속적으로 추진
    - 대처의 수준은 노동시장→공공재→사회보험→수당→기초생활보장이므로 정책의

      포괄영역에 사각지대가 없도록 해야 함
    - 빈곤의 원인을 '가족영역', '사회보장제도', '경제영역'으로 구분 하고 현재 가장

      위험한 집단인 청소년, 모자가정, 여성노인 등에 대한 집단별 특성 고려한 대책 필요

 

   신용불량자 대책 시급
    - 기본생명유지 위한 지원은 유지를 원칙으로
    - 전기, 가스공급 중단 문제 등 재검토 필요

 

   신빈곤층, 차상위계층의 문제
    - 분노조절이 안되는 정신적 장애대책 시급
    - 사회에 무차별적인 분노표출이 대구지하철 참사 등 더 큰 사회적 비용 유발
    - 최근 제기되는 차상위계층의 문제는 기초생활보장의 사각지대의 문제(기초생활보장

      대상 탈락자, 주민등록말소자 약 60만명 등)
    - 정확한 데이터 없으나 약 320만명 추정

 

   노동시장 내에서의 생존권 보장이 근본대책
    - 최저생계비 현실화, 여성근로자를 위한 노동시장의 성차별, 간접차별 해소,

      모성보호, 보육문제 해결 등

 

   빈곤아동 지원을 통한 빈곤세습의 악순환 단절
    - 지원이 필요한 아동이 전국 약 50만명으로 추산
    - 현재 약 6,000명만 민간이 지원
    - 지역아동센터 공부방을 '아동복지시설'로 인정(법안 통과)
    - 교육비 공공재 또는 미국식으로 장기융자제도 마련

 

   빈곤예방을 위한 장기적 방안
    - 여성빈곤 해소 위해 여성의 연금권 확보가 우선
    - 기초연금제도 도입, 안되면 상응하는 대책 필요
    - 기초생활보장문제는 일률적 접근보다 선별적, 집중적 대책
    - 근로의욕 고취 방향으로 정책 추진

 

   전체 빈곤 속에서 여성빈곤을 별도로 봐야 되는 이유
    - 법·제도가 여성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반적 기준적용으로 여성들에게

       불리하게 작용


 

   보육지원 예산 확대
    - 도시가구 월평균소득 230만원이하에 대해 차등지원
 
   한부모가족의 빈곤탈출 위해 한시적으로라도 추가급여 실시

   자활사업에 대한 진단 및 개선
    - 자활사업 시행 5년, 자활촉진효과 없이 단순자활사업화함

 

   복지 공무원의 전문화, 지속성 유지 체계
    - 업무 연결안되고 전문성 미흡하여 체계적인 복지대책 곤란

 


  □ 향후 추진과제

 

   신빈곤 종합대책 관련 기본원칙과 종합적인 틀 마련
 
   빈곤의 악순환 단절위한 빈곤아동대책 추진
    - 지역아동지원센터 관련 법 개정 추진 및 예산 확보
    - 빈곤아동 교육비 지원위한 장기융자제도 검토

      자활사업에 대한 점검 및 대안마련
 
   빈곤여성가구주에 대한 우선구제를 위한 수당제 도입 추진
 
   한국여성개발원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9-10월중 여성빈곤종합대책 마련

   예정이므로 이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당이 9월 정기국회에 반영할 정책 도출 및

   예산확보 추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