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식
  • 의원활동
  • 국감자료

의원활동

국민의 생각과 행복이 최우선인 국가정책, 국민의힘이 만들겠습니다.

[국방위] 모순투성이 문무대왕함 포신절단 사고조사(071023)
작성일 2007-10-23
(Untitle)

[국방위] 모순투성이 문무대왕함 포신절단 사고조사(071023)

 

모순투성이 문무대왕함 포신절단 사고조사

 

- 사고 난 포탄 제작사에 사고원인 조사 맡기고, 기품원은 코멘트 만 -

- 결함의심 되는 포탄은 계속 사용 중 -

 

국회 국방위원회 맹형규 의원(한나라당 서울 송파갑)은 지난 5월에 있었던 해군 최신구축함인 문무대왕함(KDX-Ⅱ)의 포신절단사고의 조사를 포탄 제작사에 맡기는 등 이해할 수 없는 방식으로 조사가 진행됐다고 밝혔다.

해군이 맹형규 의원에게 제출한 ‘5인치 함포/탄약 사고발생 원인분석 검토결과“에 르면, 포 내부에서 포탄이 터진 원인에 대해 이태리 포탄 제작사(SIMMEL)와 이를 검토한 해군과 국방기술품질원(기품원)간에 이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포탄제작사가 사고발생 함포탄과 같은 로트(LOT :생산라인)의 탄약에 대한 안전도를 검사한 결과, 대상탄약 1,847발 중 471발이 불합격했다. 이중 62발은 탄저판 용접부위 부식 때문이었고, 나머지 409발은 탄체손상(Scrach 등)이 원인이었다.

(※ 탄저판 : 포탄 바닥에 용접되어 부착된 얇은 판(두께 1mm)으로 추진력을 얻기 위한 장약의 압력을 분산시켜 탄이 장약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막아줌)

포탄제작사는 탄저판의 부식을 치명적 결점으로 규정하고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에 대해 해군과 기품원은 탄저판의 녹이 심각한 결점이 될 수 없으며, 제작사로부터 탄저판 녹에 대한 위험공지도 받지 못했다는 입장이다.

결국, 사고의 원인은 규명되지 못한 채, 해군은 이 문제를 국방과학연구소(ADD)에 사고조사를 재 의뢰한 상태이다.

문제는 이번 조사결과가 탄약분야의 품질을 검사할 수 있는 기품원이 중심된 것이 아니라 포탄을 만든 제작사가 조사하고, 기품원은 그 결과에 코멘트를 다는 식이었다는 것이다.

제작사가 자신의 문제점을 자인할 리 만무한 상황에서 해군과 기품원은 포탄 제작사의 조사결과만을 바라본 것이다. 결국 이번 사고조사는 조사시작 때부터 그 한계가 분명했다.

해군 측 관계자는 해군과 기품원이 제작사의 포탄 TDP(기술자료 Technical Data Package : 설계도면, 규격서, 검사장비 목록 등. 이것 없이는 원칙적으로 탄을 제대로 조사할 수 없음)를 가지고 있지 못해 불가피했다는 입장이다.

그런데 ADD 역시 TDP를 갖고 있지 못하며, 제작사가 TDP를 제출할 의무도 없다.

결국 ADD의 조사 역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으며, 명확한 사고원인을 밝히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 다른 문제는 해군이 ADD에 포탄조사를 의뢰하면서 동시에 사고 난 로트의 포탄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국방과학연구소(ADD)가 맹형규 의원실에 제출한 “기술지원 사업계획서(사업명:5인치 함포 포신절단 사고 기술분석)”에 따르면, 해군은 포 내에서 탄이 폭발한 원인과 탄약설계/제작의 연관성을 분석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는 사고 난 포탄과 같은 로트의 탄의 설계 또는 제작 상에 있어서 결함이 있었는지를 규명해 달라는 것이다. 해당되는 로트가 조사대상이라면, 당연히 그 로트의 포탄사용을 중지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동일한 로트의 포탄이 계속 사용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결함이 있을지 모른다고 조사를 의뢰하면서 동시에 그 포탄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맹형규 의원은 “포신절단 사고는 해군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며, 문제는 이에 대한 원인조차 분석하지 못하는데 있다.”고 지적하며, “해군은 철저히 원인을 규명해 제2, 제3의 포신절단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2007년 10월 23일

[국방위] 문무대왕함 보도자료(071023).hwp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