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식
  • 의원활동
  • 국감자료

의원활동

국민의 생각과 행복이 최우선인 국가정책, 국민의힘이 만들겠습니다.

[복지위 - 심재철]임신 중 약물 복용으로 년간 총 9만 6천건 임신중절
작성일 2009-10-13
임신 중 약물 복용으로 년간 총 9만 6천건 임신중절
- 대부분 잘못된 정보로 인한 임신중절, 관련 정부 대책 시급

계획하지 않은 임신은 약물과 알콜 등에 2~3배 이상 노출되고 있으며, 연간 미혼 여성 임신의 12.6%, 기혼여성 임신의 9.6%가 임신 중 약물 복용으로 인하여 인공임신중절을 선택하고 있지만 대부분 위험 약물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한 불필요한 임신중절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같은 사실은 식약청이 국정감사를 위해 한나라당 심재철의원(보건복지가족위, 안양동안을)에게 제출한 『생식발생독성정보 활용화 방안 연구』자료를 통해 밝혀졌다.

지난 1999년부터 2008년까지 임신 중 약물을 복용한 임신부 총 5,032건을 분석한 결과, 임신부들이 노출된 약물의 종류는 1,308가지 이었으며, 총 노출 약물의 빈도는 31,742건이었다.


□ 계획 임신 아닌 경우 약물에 2~3배 이상 노출

임신부들이 임신 중 약물에 노출된 시기는 임신 3.5~4.6주가 대부분으로, 임신을 인식하고 병원에 방문하게 되는 임신 6주 이전이었다. 우리나라는 임신부가 미리 임신에 위해요소가 되는 물질들을 삼가고 하는 계획 임신율은 50%를 넘지 않는다. 이 결과 실제로 임신을 계획하지 않은 임신부의 경우에 약물, 알콜, 흡연 그리고 방사선에 2~3배 이상 많이 노출되고 있다.

현재 계획되지 않은 임신에서 임신인지 모르고 약물에 노출되는 경우나 만성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의 안전성과 위험성에 관한 연구결과는 특히, 인간에서의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 소화기계 약물이 가장 많고, 소염진통제인 아세트아미노펜 최다

상위 5대 다빈도 약물들로는 소화기계 약물이 7,353건(23,1%)으로 가장 많았으며, 소염진통제가 5,655건(17.8%), 항생제가 3,911건(12.3%), 호흡기계가 3,065건(10%), 항히스타민제가 2,646건(8.3%)으로 나타났다(*별첨. 표1).

다빈도 약물 현황을 살펴보면, 최다빈도 약물은 소염진통제인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이 1265건, 두번째는 항히스타민제인(chlorpheniramine maleate)이 755건이었고, pseudoephedrine HCl이 뒤를 이었다. 이들 약물들은 일반적으로 감기약물(cold remedies)에 포함 되어 있다. 그 뒤를 이어서 페니실린계 항생제인 암피실린 그리고 다음은 제산제인 시메티딘이 뒤를 이었다(*별첨. 표2).

□ 미혼 여성 12.6%, 기혼여성 9.6%가 임신 중 약물로 인공임신중절

하지만, 상담내용을 살펴보면 이들 대부분은 기형유발성 약물이거나 기형유발 우려가 되는 약물들(중추신경계, 내분비계, 심혈관계, 비타민 A계)과는 거리가 있는 것으로, 최소 70%는 특별히 아기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소화기계, 소염진통, 항생제, 호흡기계, 그리고 항히스타민제를 포함하는 임신결과에 관한 분석결과는 임신의 부정적 결과로서 선천성기형, 조산, 저체중증, 그리고 자궁내 태아사망의 빈도가 이러한 약물에 노출이 없었던 대조군과 비교시 증가되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년간 미혼 여성 임신의 12.6%, 기혼여성 임신의 9.6%가 임신 중 약물 복용으로 인하여 인공임신중절을 선택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년간 총 9만6천건의 유산이 임신 중 약물 노출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연구 결과 대부분의 약물로 인한 임신중절의 경우 약물의 안전성에 관한 정보의 부족으로 인한 불필요한 임신중절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연구결과는 밝히고 있다.

약물에 노출되는 경우 노출된 약물 등의 임신 중 위험 및 안전성에 관한 정보에 접근하기가 매우 어렵고, 이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해주어야 하는 의료인들에게 조차도 관련된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는 실정이다.


심재철의원은 “저출산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해마다 10만건에 달하는 임신중절이 임신 중 약물노출로 인해 발생하고 있다”고 밝히고,

“이중 상당수가 잘못된 부작용정보로 인한 불필요한 임신중절인 만큼 이를 줄이기 위해 정부가 해당 약물의 위해성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고, 정확한 정보를 알리기 위한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p090929.hwp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