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식
  • 의원활동
  • 국감자료

의원활동

국민의 생각과 행복이 최우선인 국가정책, 국민의힘이 만들겠습니다.

[보도자료]해외 유입 감염병 진단에 구멍
작성일 2014-10-14

해외 유입 감염병 진단에 구멍

에볼라 바이러스 등 몇몇 바이러스기타 바이러스 진단조차 못해

 

해외유입 바이러스에 대한 감시체계가 허술해 감염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제식(새누리당, 서산태안) 의원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국내 감염병 검역시스템으로는 에볼라 바이러스 등 몇몇 바이러스 이외, 치사율이 높은 기타 바이러스에 대해선 감별진단 조차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 2014: About vector-borne diseases) 보고에 따르면 모기 및 절지동물을 매개로 전파되는 바이러스는 현재까지 15종 이상이 확인되었으며, 매개체 서식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분포 범위가 넓어지고 전파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최근 5년간 질병관리본부에 신고 접수된 해외발생 바이러스 질환 총 2,990건 중 실험실 진단을 통해 원인병원체를 확인한 사례는 뎅기열 715, 뇌염(웨스트나일열) 1, 치쿤구니야열 2건 등 총 718(24%)으로 진단을 통해 감염이 파악된 경우 신속한 조치를 통해 전염을 막을 수 있었다. 그러나 질병관리본부가 진단 가능한 바이러스는 총 5종에 불과해 검역체계에 구멍이 있다는 지적이다.

대체적으로 이러한 해외유입 열성 및 뇌염바이러스 질환은 모기, 진드기 또는 설치류를 매개로 전파되는데 치사율이 15%~90%에 이른다. 신종플루의 치사율이 최저 0.2%에서 최고 0.6%이고, 사스(SARS)9%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대단히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해외유입 바이러스는 특별한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조기 탐지를 통한 방역이 가장 유력한 관리 수단이다.

 

다음은 국내기술로 진단이 불가능한 해외 유입 바이러스 질환 사례

아프리카에서 들쥐 등으로 인해 발생해 사람 간 혈액, 체액, 접촉을 통해 전염되는라싸열의 경우 연간 10만명에서 30만명 감염자 발생. 치사율 30~50%

마버그열의 경우 치사율이 25%에 이르며 환자의 혈액, 구토물과 체액 등을 통해 전염되면 환자 보호자들 중에 다수가 감염되는 치명적인 바이러스.

크리미언-콩고 출혈열의 경우 치사율이 50%에 이르며 감염되면 혈관계통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하기 때문에 피를 토하며 곧바로 사망 가능한 바이러스. 크리미안 반도에서 발생하고 진드기를 통해 전염.

리프트밸리 출혈열 아프리카, 아라비안반도에서 모기, 흡혈곤충으로 인해 발생해 혈액, 체액, 접촉을 통해 전염되는데 증상 발생 후 1주일 이내 사망. 2008년 수단에서 700명 감염자 발생. 치사율 50%

미국에서 1970년대 중반에 발생한세인트루이스 뇌염의 경우 모기를 매개로 발병하여 2,500명 감염자 발생

2014. 5 동남아시아에 발생한ZIKA로 인해 1,200명 감염자 발생

 

국내에는 이러한 감염병에 대한 진단법이 없어 국내 유입시 대부분 불명열(unknown fever,뇌염)로 진단되어 정확한 감시가 불가능하다. 실제 지난 5년간 해외여행 귀국 후 진단을 의뢰한 환자 2,990건 중 2,272(76%)이 불명열(뇌염)로 진단된 바 있다.

 

이와 관련 김제식 의원은 에볼라열의 경우에도 서아프리카에서 에볼라 출혈열이 발생한 이후 올해 4월부터 검역을 하기 시작했다면서 만약 서아프리카에서 에볼라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우리는 에볼라가 뭔지도 모른 채 국내 유입을 지켜봐야 했을 심각한 상황 이었다고 밝혔다.

 

또 김 의원은 에볼라로 인해 이미 4,00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는데 환자가 발생한 이후 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한다면 이미 늦다. 미국의 질병관리본부에 해당하는 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는 해외유입 불명 뇌염 및 고위험군 바이러스 18종에 대해 검진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소개하며, “우리도 라싸 바이러스나 마버그 바이러스처럼 치사율이 높은 고위험 바이러스의 국내유입 이전에 국가진단 및 감시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141012)-보도자료(해외유입바이러스무방비).hwp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