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식
  • 의원활동
  • 국감자료

의원활동

국민의 생각과 행복이 최우선인 국가정책, 국민의힘이 만들겠습니다.

[국감보도자료/정희용의원] 최근 5년여간, 농협은행 통한 보이스피싱 피해액 2,278억원, 피해 건수 15,437건, 환급액 322억원에 그쳐!
작성일 2023-11-02

- 피해 건수 경기서울경남경북 순, 피싱사기율 ‘1828.9%‘2286.6% 급증!

- 정의원, “보이스피싱은 민생 파괴 범죄, 강력한 방안 및 피해자 지원 대책 필요!


올해 3, 법인인 피해자는 거래처를 사칭한 보이스피싱범이 텔레그램으로 보내온 정산금이 맞지 않으니 확인해 달라는 메시지에 속아 계좌정보를 제공했고, 이후 보이스피싱범은 피해자의 기업 인터넷뱅킹에 접속해 8억원을 무단 이체하여 자금을 편취했다. 피해자가 농협은행에 뒤늦게 신고했지만, 돌려받은 환급금은 14,000원에 불과했다.

지난해 1월에는 피해자가 검찰 직원을 사칭한 보이스피싱범에게 속아 31,400만원을 송금해 피해가 발생하는 등,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가 끊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정희용 의원(국민의힘, 경북 고령군성주군칠곡군)이 농협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여간(2018~2023.8) 보이스피싱 피해 및 환급 현황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협은행을 통한 보이스피싱 피해자의 피해 신고액은 20183754,600만원, 20196632,400만원, 20203313,500만원, 20213353,300만원, 20222683,100만원, 20238월 기준 3044,300만원으로 5년여간 총 2,2781,200만원에 달했으며, 신고 건수도 15,437건으로 확인됐다.

 

반면, 피해자가 보이스피싱 범죄를 인지해 농협은행에 신고 후 돌려받은 환급액은 2018765,700만원, 20191154,000만원, 2022419,500만원, 2023413,300만원, 2022293,300만원, 20238월 기준 174,200만원으로 5년간 총 322억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발생시기

피해구제 신청(피해 발생)

환급(피해 보전)

건수

피해자 신고액

건수

환급액

2018

3,095

37,546

3,095

7,657

2019

4,158

66,324

4,158

11,540

2020

2,210

33,135

2,210

4,195

2021

2,548

33,533

2,548

4,133

2022

2,187

26,831

2,187

2,933

2023.8

1,239

30,443

1,239

1,742

합 계

15,437

227,812

15,437

32,200

. 환급액은 피해금이 인출된 후 남은 잔액을 기준으로 환급되어 피해구제 신청액보다 낮음.

자료: 농협은행

 

지역별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는 경기도가 3,313건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시 2,286, 경상남도 1,399, 경상북도 938, 부산시 915, 전라북도 890건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보이스피싱로 인한 피해액도 경기도가 가장 많았다. 경기도의 피해액은 5386,700만원으로 나타났으며, 서울시 3521,100만원, 경상남도 2022,800만원, 경상북도 1361,800만원, 부산시 1284,800만원, 충청북도 1161.800만원 순으로 확인됐다.

 

유형별 건수는 5년여간 대출을 빙자한 사기가 7,810(50.6%), 피싱 사기 7,627(49.4%)으로 각각 조사됐으며, 피해액은 피싱 사기가 1,204400만원(52.9%)으로 대출빙자 사기액 1,074800만원보다 많았으며, 지난해 기준 대출빙자 사기 건수 비율은 감소하는 반면, 피싱 사기 건수 비율은 201828.9%에서 86.6%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정희용 의원은 보이스피싱은 서민의 안전한 일상을 파괴하는 대표적인 민생 침해 범죄라며, “특히, 피해자에게 물질적 피해에 더해 극심한 정신적 피해를 주는 만큼 유관기관은 보이스피싱 척결을 위한 방안 마련에 더욱 힘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의원은 보이스피싱을 예방하기 위한 홍보와 전담 직원의 교육 및 의심 계좌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등 관련 대책을 강화하고, 범죄 피해자가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도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