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생각과 행복이 최우선인 국가정책, 국민의힘이 만들겠습니다.
3G폰 사용자 2,222만명, 하지만 이들은 재난경보시스템 사각지대에 놓여..
대안인 DMB를 활용한 재난경보시스템,
이마저도 일부 지하철에서는 무용지물!
임진강 참사로 인해 재난경보시스템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최첨단 정보통신기기도 재난경보시스템의 사각지대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한선교 의원(한나라당, 경기 용인 수지)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전체이동통신 가입자 4천739만명 중 46%해당하는 3G폰 사용자 2천222만명(지난 7월말 기준)은 기지국기반 문자방송시스템(CBS)이 탑재되지 않아 재난 문자 수신이 불가한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시스템은 현재 3G 핸드폰에는 적용하기가 매우 힘들뿐더러, 설사 적용하더라도 최신칩이 적용된 22여만대(3G폰의 1%에 불과한 수준)에만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안으로 DMB를 활용한 재난경보시스템이 거론되고 있으나, 방송통신위원회가 한선교 의원에게 제출한 DMB 중계기기 설치현황에 따르면, 수도권 지하철 9호선, 3호선, 인천선 연장구간, 그리고 지역지하철인 부산, 대전, 광주, 대구 지하철은 중계기기 설치조차 되어 있지 않아 재난방송 수신이 불가능한 사각지대로 남아 있었다. 설상가상으로 DMB 사업자의 계속되는 재정 악화로 더 이상의 DMB 중계기기 구입 및 설치는 어려워 이들 지역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지하철 DMB 사각지대를 해소하는데 드는 비용은 지상파 DMB 총 205개 역사 119.3억원, 위성 DMB 총 104개 역사 79.6억원 등 총 208.9억원의 비용이 소요된다. 결국 긴급재난문자의 수신이 불가능한 3G 휴대폰 이용자 2,222만명은 331km에 해당하는 지하철에 있을 경우 재난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것이다.
한선교 의원은 “우리는 아직도 대구 지하철 참사를 잊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순식간에 불어난 강물로 인해 임진강 참사가 발생했다. 앞으로도 각종 자연재해는 우리 생활 주변에 발생 가능성이 여전히 높다. 그러나 현재 국민의 절반가까이가 수신불가능한 재난문자경보시스템이나 대안으로 제시되는 DMB 경보방송의 사각지대가 너무나 많고 이에 대해 정부의 대책은 사업자에게 책임만 떠 넘기고 있을 뿐, 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재난재해경보시스템 대책은 전무한 상황이다.”라고 질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