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식
  • 의원활동
  • 국감자료

의원활동

국민의 생각과 행복이 최우선인 국가정책, 국민의힘이 만들겠습니다.

교육부-용두사미가 되어 버린 스마트 교육
작성일 2014-10-20

용두사미가 되어 버린 스마트 교육

- 야심차게 시작했던 스마트교육, 잘못된 인식 때문에 반대에 부딪혀 위축

-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 국가 시책 사업으로 중점 추진

- 기존 개발되어 있는 컨텐츠, 인프라를 활용하여 스마트교육을 확대하고, 스마트교육을 활용한 체험형 교육 개발 추진 필요 시사

 

질의요지

- 야심차게 시작했던 스마트교육, 잘못된 인식 때문에 반대에 부딪혀 위축

-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 국가 시책 사업으로 중점 추진

- 기존 개발되어 있는 컨텐츠, 인프라를 활용하여 스마트교육을 확대하고,

스마트교육을 활용한 체험형 교육 개발 추진 필요 시사

< 디지털교과서 사업 축소·조정 현황 >

구분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정부 사업 추진 현황

연도

’12~’15

’13

’14

개발학년

3~2

3~4, 1

5

개발교과

’14년 사회·과학·영어

’15년 모든 교과

사회·과학

(’13 개발’14 적용)

사회·과학

(’14 개발’15 적용

적용방법 및 학년

전면 적용

모델 연구

(연구학교 144개교)

시범 적용

(연구학교 163개교)

(3~4, 1)

 

< 스마트교육 연도별 예산 >

 

2012

2013

2014

2015(요구)

일반회계

-

1,178

739

180

특별교부금

12,933

25,100

12,931

-

총계

12,933

26,278

13,670

180

 

스마트 교육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편견

- 스마트 교육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편견이 존재함. 이를 살펴보기로 함.

 

효과성

#PPT3. 스마트 교육 성과분석

- 먼저 효과성 측면인데요.

스마트교육의 학습효과가 떨어진다는 편견이 있음.

- 하지만 화면에서 볼 수 있듯이, 여러 연구 결과 학습효과가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음.

특히 사회·과학은 서책형교과서보다 효과가 높게 나타남.

<스마트교육 성과 분석 >

연구과제

항목

1년차

2년차

변동

스마트교육디지털 교과서

효과성 검증도구 개발

(광주교대 김정랑, 2013)

창의력

3.74

3.83

+0.09

문제해결력

3.84

3.95

+0.11

자기주도

학습능력

3.80

3.90

+0.10

디지털교과서스마트교육 연구학교

대상 시계열 효과 분석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장근영, 2013)

공부습관

3.36

3.43

+0.07

수업태도

3.32

3.40

+0.08

 

연구과제

실험반

(디지털)

비교반

(서책)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운영 성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정광훈, 2013)

학업성취도

사회

165

67

과학

127

6

영어

59

33

문제해결력

149

74

자기주도적 학습력

193

92

교과 학습태도

사회

122

37

과학

86

42

영어

58

29

1010-1 용두사미가 되어 버린 스마트 교육.hwp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