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생각과 행복이 최우선인 국가정책, 국민의힘이 만들겠습니다.
드림디자이너 심 재 철 |
보도자료 2019. 10. 21. |
TEL:02) 788-2566, 784-4164 FAX:02) 788-0247 www.cleanshim.com cleanshim@assembly.go.kr |
공공기관 정원 40만 돌파, 지난해 인건비 23조 6천5백억원 달해 공공기관 신규채용 지난해 3만 4천여명으로 급증
경영평가에서 일자리창출 실적 배점 가장 높아.. 실적개선 보다 신규인력 뽑기에 급급
공공기관의 실적이 크게 떨어지고 있는 가운데 문재인 정부가 공공기관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무리하게 인원정원을 늘리는 한편, 경영실적이 악화되고 있는 공공기관에게 신규채용에 대한 경영평가 항목을 대폭 늘리는 방법으로 인력충원에 나서도록 내몰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기재부가 국정감사를 위해 심재철의원(자유한국당, 안양동안을)에게 제출한 자료를 통해 밝혀졌다.
공공기관의 당기순이익은 ’15년 12조5천억원, ‘16년 15조 4천억원에서 ’17년 7조 2천억, ‘18년 7천억원으로 급감했다.
- 이 중에서 공기업(시장형, 준시장형)의 당기순이익은 ’14년 4조3천억원, ‘15년 4조 9천억원, ’16년 9조원, ‘17년 4조2천억원을 유지했지만 지난해 ’18년 2조원으로 급감했다.
- 특히 시장형 공기업의 경우 ‘14년 2조7천억원, ’15년 8조8천억원, ‘16년 6조3천억원대의 비교적 건실한 흑자구조였지만 문재인 정부들어 ’17년 1조원대 흑자로 줄어들었고, 지난해는 마이너스 1조1천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기재부가 승인해 준 362개 공공기관의 연도별 정원을 살펴보면 ‘16년 32만 8,716명이었지만 문재인정부 들어 ’17년 34만 6,715명, ‘18년에는 38만 3352명, ’19년 2/4분기 현재 40만 7,197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이에 따란 공공기관의 신규채용도‘15년 1만 9,373명, ‘16년 2만 1,059명, ’17년 2만 2,637명이던 수준에서 지난해 ‘18년에는 3만 3,900명으로 급증했다.
[표] 공공기관 신규채용 현황
(단위:명)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2/4) |
전체 |
17,509 |
19,373 |
21,059 |
22,637 |
33,900 |
15,640 |
공기업 |
4,937 |
5,823 |
5,991 |
6,805 |
9,070 |
4,763 |
준정부기관 |
4,963 |
4,942 |
6,166 |
6,868 |
9,973 |
3,248 |
기타공공기관 |
7,609 |
8,608 |
8,903 |
8,963 |
14,856 |
7,630 |
이로 인해 공공기관의 인원(현원)도 ’16년 30만 8,112명에서 ‘19년 현재 37만 3,507명으로 6만5천명 가량 증가했다. 이로 인해 공공기관에서 인건비로 지출되는 금액만도 대략 ’14년 18조 6천억원, ‘15년 19조 7천억원, ’16년 21조 1천억원에서 문재인 정부 들어 ‘17년 22조 801억원, ’18년 23조 6천5백억원으로 크게 늘어났다.
[표] 공공기관 임직원 현황(현원)
(단위:명)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2/4) |
전체 |
285,377 |
295,219 |
308,112 |
324,359 |
359,029 |
373,507 |
공기업 |
115,072 |
117,068 |
121,292 |
127,015 |
133,891 |
137,555 |
준정부기관 |
80,919 |
83,812 |
88,124 |
93,622 |
106,186 |
110,340 |
기타공공기관 |
89,387 |
94,338 |
98,696 |
103,722 |
118,952 |
125,611 |
이처럼 공공기관들이 실적악화에도 불구하고 문재인 정부에서는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에서 공기업의 경쟁력 강화가 아닌 일자리 제공, 사회적 책임 등 공공성을 강조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 들어 공공기관 평가방식이 새롭게 변경되어 경영관리 55점 중에서 사회적 가치 구현 점수가 24점으로 가장 높은 배점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 중에서도 일자리 창출 실적은 가장 높은 7점으로 경영전략 및 리더십 4점, 업무효율 5점, 혁신과 소통 5점보다 월등하게 높은 배점을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공공기관은 경영상태 악화에도 불구하고 높은 경영평가를 받기 위해 실적개선 보다 정규직 정원 늘리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공공기관의 입장에서는 경영평가가 높아야 성과금을 많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경영실적 개선보다 신규인력 충원에 적극 나설 수 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기재부는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을 통해 ‘18년 공공기관의 핵심 혁신과제로 소득주도와 일자리 중심 경제 등 ‘경제패러다임 전환 선도’와 ’19년도 일자리 중심 경제 지속 선도를 통한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를 통해 신규인력 충원에 나설 것을 강조하고 있다.
심재철의원은 “지난 정부에서는 공기업의 슬림화와 경쟁력 강화 등이 목표였지만 문 정부 들어 공공성 강화 및 사회적 가치 실현을 우선 목표로 삼으면서 당기순이익이 악화되고 있다” 며 “공기업도 글로벌시대에 맞춰 민간기업과의 경쟁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자리 창출과 공공성만 지나치게 강조해 부실화되면 결국 국민적 부담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끝>